더밸코리아
 
 
카다로그
 

<앵커> 경기 가평뿐 아니라 경남 산청에서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회

본문

<앵커> 경기 가평뿐 아니라 경남 산청에서도 폭우가 산사태로 이어지면서 인명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 두 지역에서만 모두 1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특히 일부 지역은 산사태 취약 지역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미리 대비할 수 있었던 산사태 피해를 줄이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진우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산자락 한쪽이 뻥 뚫려 있고, 바로 아래 비닐하우스와 주택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이 마을은 기록적인 폭우와 산사태로 주택 3채가 무너져 주민 1명이 숨지고 4명이 다쳤습니다. 산에서 마을로 향하는 계곡 모양을 이루고 있어 산사태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지형입니다. [이수곤/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계곡 부가 있는 지역들은 토석류가 몰려서 이렇게 눈덩이처럼 치고 내려온다고요.] 토양의 깊이가 얕아 나무가 단단히 뿌리내리지 못한다는 악조건도 겹쳤습니다. [이수곤/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우리나라 지질 특성상 산의 흙이 얕아요. (흙은) 돌이 풍화돼서 썩은 거예요. 근데 썩자마자 금방 비가 오니까 산에 1미터밖에 (흙이) 남아 있지 않은 거예요.]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를 대비해 토사가 민가를 덮치는 걸 막아줄 구조물만 있었다면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었을 거라고 전문가는 말합니다. [이수곤/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보호벽 만들어 놓으면 충분하거든요. (토사가) 치고 빠져나가라는 얘기죠. 이런 데는 위험하잖아요. 긴가민가하면 만드는 거예요.] 산사태가 휩쓸고 간 가평의 또 다른 지역입니다. 하천가에 있던 편의점 건물이 통째로 무너져 내렸습니다. 집채만 한 나무 수십 그루가 통째로 밀려 내려왔고, 철제 간판은 종잇장처럼 구겨졌습니다. 가파른 지형이라 산사태를 대비한 사방댐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 곳입니다. [이수곤/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나무도 많이 내려오잖아요. 중간에 막을 필요가 있었다, 그러니까 사방댐 같은 거를 만들 필요가 있었어요.] 문제는 이 두 곳이 산림청과 지자체가 지정하는 '산사태 취약 지역'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예견된 피해를 미리 막지 못한 건, 경남 산청군 상황도 비슷했습니다. 인명 피해가 있었던 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오른쪽) 이재명 정부의 공약인 기후에너지부 신설이 시작부터 진통을 겪을 조짐이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의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어서다. 환경부는 산업부의 에너지 부문을 통합하는 방안을 원하는 반면 산업부는 에너지 업무를 분리하는 것 자체에 부정적이다.21일 국회와 정부부처 등에 따르면 지난 15일과 17일 각각 진행된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와 김정관 산업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두 사람은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김성환 후보자는 "국정기획위원회 위원들이 기후에너지부 설립과 관련해 제 의견을 물었고 위원들과 협의한 바 있다"며 두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하나는 산업부의 에너지 부문을 환경부와 합쳐 '기후환경에너지부'를 만드는 방식, 다른 하나는 산업부의 에너지 부문과 환경부의 기후 부문을 떼어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방식이다.당초 이재명정부의 공약은 기후 문제를 해결할 컨트롤타워로서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것이다. 하지만 김성환 후보자가 언급한 2가지 방안 중 하나는 부처 신설이 아닌 기존 환경부의 확대개편이다. 환경부 업무에 보다 힘을 싣겠단 의도로 풀이된다. 산업부 입장은 정반대다. 어떤 안이든 산업부에서 에너지 기능을 분리한다는 점에서 산업부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에너지 정책은 그간 산업정책과 긴밀하게 연계돼 추진돼왔기 때문이다.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청문회에서 "산업과 에너지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며 우회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청문회 말미,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이 "에너지를 산업부에서 분리하는 데 찬성하느냐"고 묻자 "굉장히 걱정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대'로 봐도 되느냐는 추가 질문엔 "우려는 하고 있다"고 밝혀 사실상 반대 의사를 드러냈다.두 부처 장관의 의견이 뚜렷하게 갈리는 만큼 조직개편이 순탄치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두 장관 모두 업무 장악력이 강한 인물로 평가받아 협의 과정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3선 의원 출신인 김성환 후보자는 평소 기후 문제에 강한 의지를 갖고 여러 정책을 추진한 경력이 있다. 김정관 장관은 에너지 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출신이고 기획재정부 재직 당시에도 "그립(업무 장악력)이 강한 편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에너지 부문을 쉽게 내주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배경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