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호세 무뇨스 현대자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사장이 ‘인도 국민차’로 자리매김한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크레타(CRETA)’의 10주년을 치하하며 인도 시장에 더욱 드라이브를 걸 계획을 강조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사진=연합뉴스) 무뇨스 사장은 23일 자신의 SNS에 “크레타의 놀라운 10주년을 축하하며 고객께 감사드린다”라며 “지금까지 120만 가구 이상이 크레타를 믿음직한 동반자로 선택했으며, 2015년 이후 매년 인도 중형 SUV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켜왔다”고 밝혔다. 지난 2015년 7월 개발도상국을 겨냥해 출시한 크레타는 인도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소형과 중형 SUV 중간가량 사이즈의 SUV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자 개발한 전략 모델이다. 한국에서는 볼 수 없는 제품이지만 ‘투싼’과 비슷한 체급으로 보면 된다.크레타의 연간 판매량은 2016년 9만2926대에서 2024년 18만6919대로 두 배 뛰었다. 인도 현지 중형 SUV 부문 시장 점유율 31%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올해는 상반기 인도 베스트셀링 SUV에 선정되기도 했다. 인도에서 생산된 물량이 13개 이상 국가에 수출 중이다. 이러한 성공에 따라 인도 시장에서는 ‘크레타 세그먼트’로 불리는 중소형 SUV 시장이 생겼다. 현대 크레타 인도 현지 광고 무뇨스 사장은 “새로운 탈레가온(마하라슈트라주 소재) 생산 시설, 최근 출시된 크레타 일렉트릭, 그리고 2030년까지 6종의 전기차를 포함한 26개 신차 출시라는 계획이 증명하듯, 현대차는 인도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며 “기대를 뛰어넘는 혁신과 모빌리티 솔루션을 통해 ‘Viksit Bharat’(번영하는 인도)에 기여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지난해 성공한 현대차(005380) 인도법인 기업공개(IPO)를 토대로 인도 시장에 더욱 역점을 두겠다고 했다. 무뇨스 사장은 “33억달러라는 인도 역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한 현대차 인도법인의 IPO는 인도에 대한 우리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현대차는 최근 인도 정부로부터 약 800억원(51억7340만루피) 규모의 세금 및 과징금을 부과받은 것에 불복실업 상태를 가장해 실업급여를 타낸 ‘가짜 실직자’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최근 2년 새 부정수급 금액은 322억 원을 넘기며 20% 이상 증가했지만, 실제 환수율은 오히려 하락했습니다.일하면서도 실업인 척한 고의 수령이 다수를 차지하면서, 실업급여 제도의 취지와 신뢰 자체가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인 최은석 국민의힘 의원이 23일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실업급여 부정수급 규모는 2022년 268억 원에서 2024년 322억 원으로 20.3% 증가했습니다.이 기간 부정수급에 대한 반환 명령액은 514억 원에서 636억 원으로 23.6% 늘었지만, 실제 반환률은 88.6%에서 79.9%로 8.7%포인트(p) 낮아졌습니다.이는 부정수급 증가와 함께 ‘받고 돌려주지 않는’ 구조가 강화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특히 일부 사례는 ‘실업 상태’라는 점을 악용해 급여를 장기적으로 편취하는 고의적 수급 형태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많은 부정, ‘취업 후에도 실업인 척’전체 부정수급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은 ‘취업 사실 거짓·미신고’였습니다.취업한 이후에도 실직 상태인 것처럼 꾸며 계속해서 급여를 받는 방식입니다. 온라인으로 대리 실업 인정서를 제출하거나, 이직 확인서를 위조한 조직적 수급 사례도 확인됐습니다.또한 산재휴업급여와 실업급여를 동시에 타내는 중복 수령도 있었으며, 타인이 인터넷으로 대신 신청하는 ‘명의 도용’ 형태까지 동원되고 있습니다.실업급여 수급 자체가 시스템을 악용한 소득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는 셈입니다.■ 늘어나는 지급액, 무너지는 자격 심사전체 실업급여 지급액도 꾸준히 증가했습니다.2022년 11조 3,909억 원이던 지급액은 2023년 12조 3,034억 원으로 8% 증가했고, 지급 건수도 173만여 건에서 180만 건으로 늘었습니다.하지만 수급의 증가가 실제 ‘필요한 사람’에게 향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최 의원은 “일부의 도덕적 해이가 실업급여 제도의 근간을 무너뜨리고 있다”며 “자격 심사 정밀도를 높이고, 실시간 고용정보 연동 및 AI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등 제도 전반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선의 기반’ 정책에 생긴 균열.. 감시 시스템 한계 드러나전문가들은 실업급여 제도의 설계 자체가 수급자의 ‘신고’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호세 무뇨스 현대자